미국주식 처음공부는 제목 그대로, 미국 주식을 처음 공부하는 사람을 위한 입문서입니다.
경제 용어나 주식에 대한 배경 지식이 없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것이 특징입니다.
📖 이 책은 어떤 책인가요?
- 저자: 수미숨(상의민), 애나정
- 출판사: 이레미디어
- 출간일: 2024년 2월
- 대상 독자: 미국 주식을 처음 접하는 초보 투자자
미국 주식, 왜 시작해야 할까?
- 글로벌 기업에 직접 투자: 애플, 테슬라,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적인 기업의 주주가 될 수 있음
- 시장 구조의 우상향 특성: 미국 증시는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구조를 갖고 있음
- 불 마켓 평균 지속 기간: 2.7년 / 상승률 +111.7%
- 베어 마켓 평균 지속 기간: 9.5개월 / 하락률 -35.5%
- 배당과 자사주 매입의 문화: 주주 친화적 정책이 일반화되어 있음
미국 주식의 기본 구조 이해
- 거래 시간: 한국 시간 기준으로 밤 10시 30분 ~ 오전 5시 (서머타임 적용 시 변동)
- 거래 통화: 달러 기준, 환율 리스크 존재
- 세금 구조: 양도소득세, 배당소득세 등 한국과 다른 과세 방식
ETF란 무엇인가?
- 정의: 여러 종목을 묶어 만든 ‘상장지수펀드’
- 장점: 분산 투자, 낮은 리스크, 자동 리밸런싱
- 대표 ETF:
- S&P500 추종: SPY, VOO
- 나스닥100 추종: QQQ
- 고배당 ETF: SCHD, VYM
📌 ETF는 장기 투자에 적합하며, ‘지루함을 견디는 힘’이 수익을 만든다고 강조
배당주 투자 전략
- 배당의 의미: 단순한 현금 지급이 아니라, 기업의 수익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구조
- 배당 성향(Payout Ratio):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 중 얼마나 배당으로 지급하는지
- 배당 지급 시기: 미국은 분기별 지급이 일반적, 한국은 연 1회가 많음
- 배당 성장주 vs. 고배당주:
- 배당 성장주: 꾸준히 배당을 늘리는 기업 (예: 코카콜라, 존슨앤존슨)
- 고배당주: 높은 배당률을 유지하는 기업 (예: AT&T, IBM)
💡 배당은 ‘수익의 사회적 환원 메커니즘’이라는 철학적 관점도 제시함.
자사주 매입의 구조적 의미
- 자사주 매입이란?: 기업이 자기 주식을 시장에서 사들이는 행위
- 효과: 유통 주식 수 감소 → EPS(주당순이익) 증가 → 주가 상승
- 주의점: 단기 주가 부양에는 효과적이지만, 장기적 성장과는 무관할 수 있음
📌 저자는 자사주 매입이 때론 재투자 기회를 놓치는 선택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함.
섹터별 투자 전략
- 섹터란?: 산업군을 의미하며, 투자 시 리스크 분산에 효과적
- 대표 섹터:
- 기술(Tech): 애플, 엔비디아
- 헬스케어: 존슨앤존슨, 화이자
- 소비재: 월마트, 코스트코
- 에너지: 엑슨모빌, 셰브론
- 섹터 ETF 활용: XLK(기술), XLE(에너지), XLY(소비재) 등
💡 섹터 투자는 경기 사이클에 따라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함.
미국 주식 계좌 개설과 거래 방법
- 국내 증권사 이용: 키움, 미래에셋, 삼성증권 등에서 미국 주식 거래 가능
- 해외 증권사 직접 이용: 인터랙티브 브로커스, 찰스슈왑 등
- 환전 방법: 원화를 달러로 환전 후 거래 / 자동 환전 기능도 있음
- 수수료 구조: 거래 수수료 + 환전 수수료 + 스프레드 고려 필요
📌 저자는 국내 증권사 앱을 통한 거래를 추천하며, 초보자에게는 접근성이 중요하다고 말함.
투자 마인드셋과 심리
- 장기 투자 vs. 단기 매매: 장기 투자자가 결국 수익을 가져간다는 통계적 근거 제시
- 지루함의 심리학: ETF 투자자는 ‘지루함’을 견디는 것이 핵심
- FOMO(놓칠까 봐의 두려움): 급등 종목에 뒤늦게 뛰어드는 심리 경계
- 손절과 익절의 기준: 감정이 아닌 전략적 기준 설정 필요
💡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‘자기만의 원칙’이라고 강조함.
미국 주식 시장의 사이클 구조
- 불 마켓(Bull Market): 상승장, 평균 2.7년 지속
- 베어 마켓(Bear Market): 하락장, 평균 9.5개월 지속
- 장기 우상향의 구조적 이유:
📌 미국 시장은 하락보다 상승의 시간이 길고 폭도 크다는 점에서 장기 투자에 유리함.
이 책의 실전 활용법
- 투자 일지 작성: 책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투자 원칙 정리
- ETF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: 초보자는 ETF로 시작해 개별주로 확장
- 배당 캘린더 만들기: 배당 지급일 기준으로 현금 흐름 관리
- 섹터별 뉴스 모니터링: 투자한 섹터의 경제 뉴스와 정책 변화 체크